메모장

etc.03 유료 웹 호스팅으로 설치형 블로그를 사용 할때,

kariha 2022. 11. 11. 18:29
반응형

서론

설치형 블로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.

금액이 얼마인지, 유지 비용이 궁금해서 계산을 해봤다.

 

 

설치형 블로그 선별

대표적으로 워드프레스를 추천하나. 다른 설치형 블로그도 꽤 많은 편이기 때문에,

우선 블로그를 생성하기 전에. 자신이 원하는 블로그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.

나는 가볍고 심플하고 최적화가 잘되어있는 설치형 블로그를 우선적으로 찾아보고 선택했다.

 

 

웹 호스팅 업체 선별

나 같이 코딩알못들은...

굳이 더 좋은 웹 호스팅 업체를 찾아봤자.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기 때문에,

문제가 생기면 해결방법을 모르고, 손을 쓸 수도 없어서. 아몰랑 상태가 된다.

그래서 나는 그런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,

구글링을 통해 컴퓨터 공학을 업으로 하는 지혜로운 사람들이 작성한 가이드를 보고 digitalocean을 선택했다.

 

 

digitalocean 간략 소개

digitalocean은 해외 유료 웹 호스팅 업체다.

 

요금제는 제법 많은데,

베이직 CPU&SSD /  프리미엄 인텔 CPU&Nvme SSD / 프리미엄  AMD CPU&Nvme SSD까지

3종류의 CPU 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,

 

밑으로 각각의 CPU마다 core 개수 / ram 용량 / Disk 용량 / 트랜스퍼 용량을 다르게 할당해서 여러 가지의 요금제가 있다.

 

베이직 CPU는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1세대 및 AMD EPYC 프로세서를 짬뽕해서 사용하는 서버이고,

프리미엄 인텔 CPU의 경우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2세대 및 3세대,

프리미엄 AMD CPU의 경우 EPYC 2세대 or 3세대를 사용하는 서버라고만 보면 되는 듯하다.

 

 

요금제 추천

일단 나는 네이버나 구글로부터 저품질 블로그로 퇴짜를 맞은 지 벌써 수년이 지난

폐급 블로거이기 때문에 광고나 수익성을 중요시하는 블로거분들 위주의 옵션보다는,

취미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들을 기준으로 2가지 옵션을 추천하려고 한다.

 

블로그를 완전히 내 취미로만, 그리고 글 위주로 운영할 생각이다  = 

베이직 CPU / 1 core CPU / 1gb RAM / 25gb DISK / 1TB transfer  월 $6

 

취미도 취미이지만 사진도 많이 올려두고 싶다  =

베이직 CPU / 2 core CPU / 2gb RAM / 25gb DISK / 3TB transfer  월 $18

 

 

요금제 변경

사용 중에 서버를 OFF 하고 다른 요금제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은 아닌데.

이때도 시간당 요금이 확실하게 부과되므로 주의하고 사용하는 게 좋다.

 

티스토리만큼의 사양을 원한다면 $18짜리 옵션을 쓰는 게 좋을 듯.

 

 

유지비용

 

제일 중요한 유지비용 부분이다.

설치형 블로그를 사용하게 되면 가입형 블로그와 달리 개인 도메인도 필요하고 SSL 인증서도 발급받아야 하고

연/월마다 비용이 소모되는데.

과연 이것이 홈서버를 구축해서 사용했을 때 대비 얼마의 가격 차이를 보여줄 수 있을까를 상정해봐야 한다.

SSL은 기업이 아닌 이상 Let's Encrypt에서 무료로 발급을 받으면 되고,

개인 도메인은 웹 호스팅을 사용하든 홈서버를 구성하든 가격에 +@되기 때문에 비용에 제외를 했다.

 

1안. 웹 호스팅을 사용할 경우의 비용

추천 요금제에 따라 두 가지 경우를 계산해봤는데,

 

월 $6 옵션인 1 core CPU / 1gb RAM / 25gb DISK / 1TB transfer × 12개월 = $84

 

월 $18 옵션인 2 core CPU / 2gb RAM / 25gb DISK / 3TB transfer × 12개월 = $216

 

연 소모 비용은 

월 $6 옵션의 경우 약 10만 원.

월 $18 옵션의 경우 약 30만 원.

 

카드 수수료 등을 제하면 더 나가는 금액이다.

 

연 10만 원의 금액. 또는 연 30만 원의 금액.

 

 

2안. 홈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할 경우의 비용

개인 블로그 운영을 위한 홈 서버를 구축하려면 PC 또는 NAS를 이용해야 하는데,

견적을 전부 만들어줄 수 없으니 대충 30만 원 내외로 구축 비용으로 잡고,

서버가 상시로 돌아갈 환경을 구성해야 하며,

네트워크 설정이나 포트 포워딩이나... 약간의 지식을 겸비해둔 상태에서

 

월 전기세만 계산하면 된다.

 

 

마무리

웹 호스팅은 신경을 많이 안 써도 되는 장점이 있고, 저렴한 $6 요금제를 잘 선택하게 되면

홈 서버를 구축하는 것보다 나은 유지비용이 발생할 것 같다.

 

만약에 $18짜리 옵션을 지속해서 쓰겠다면, 홈서버를 구축하는 게 장기적으로 봤을 땐 좋지 않나 싶다.

 

홈 서버를 구축할 경우에는 최대한 전력 소비량이 낮추고, 성능이 좋은 제품으로 구입해서

구축비용 + 환경 + 전기세를 종합적으로 계산 후 타협을 하는 게 가장 좋을 듯.

 

결론적으로 기본요금제인 $6 옵션을 사용할 경우에는 무리를 해서 서버를 맞출 필요가 없어 보인다.

 

블로그질을 20년 한다고 치고 전용 계좌에 [블로그 운영 비용] 이라며 200만 원 정도 꽂아두면 되지 않을까.

 

반응형